본문 바로가기
영어마음 강의 노트 및 활용자료

관계사절 2( 계속적 용법)

by 영어마음 2024. 6. 26.

관련 강의 정리 노트는 하단을 ↓ 참고하세요!

Intro (관계사절 제한적 용법 리뷰)

  • (1) My friend who lives in Singapore is coming to see me.

지난번 관계사절 수업을 잠깐 복기해 볼까요? 제가 만약 제 남편에게 내 친구가 이번 여름에 와라고 얘기하면 내 남편은 내 친구 중 누가 온다는지 알 수 없을 거예요. 하지만 문장 (1)처럼 my friend 뒤에 관계사절 (who lives in Singapore)을 덧붙여 ‘싱가포르 사는 내 친구라고 얘기하면 제 남편은 그제야 어떤 친구를 얘기하는지 알 거예요. 이렇게 관계사절이 오면서 많은 나의 친구 중 단 한 명으로 그 정보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걸 관계사절의 제한적 용법이라고 불러요. 그리고 오늘 배울 관계사절은 문장 (1)과는 달리, 관계사절 앞뒤로 쉼표가 있는 계속적 용법이에요. 많은 분들이 이 두 용법의 차이를 잘 모르시고, 잘 모르시니까 사용을 못하세요. 단지 쉼표가 있고 없고의 차이뿐 아니라 이 두 문장이 쓰이는 상황이 다르고, 각 문장이 주는 의미도 다르니 오늘 잘 배워봐요.

관계사절 계속적 용법

  • (2) Lilin, who lives in Singapore, is coming to see me.

방금 문장(1)에서 보신 상황과 문장 (2)의 상황은 달라요.  Lilin이라는 이름이 나온 순간 제 남편은 누굴 얘기하는지 알았으니까요. ‘You met my friend Lilin last year (내 친구 Lilin 작년에 만났잖아)’. 이렇게 듣는 사람이 이미 아는 대상이라 그럴 수도 있고, ‘I have a really close friend named Lilin. (Lilin이라는 진짜 가까운 친구가 있어)’. 이렇게 대화를 통해 알게 된 대상일 수도 있어요. 어떤 쪽이든 관계사절이 없어도 남편은 Lilin이 누군지 알고 있는거죠. 그러니까 관계사절이 나타내는 ‘싱가포르에 살고 있는 친구라는 정보는 Lilin이 누구인지 밝히는 데 꼭 필요한 정보는 아니에요. 그럼 이런 식의 관계사절은 왜 붙고 이걸 붙이면 어떤 느낌이 날까요?

계속적 용법의 의미와 쓰임

대화 중에 사용하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사절은 마치 우리가 글을 읽다 만나는 괄호 안 내용과 비슷해요. 아래의 짧은 글 같이 읽어볼까요? Harper Lee의 앵무새 죽이기에 나오는 구절이에요.

  • On Saturdays, when Jem permitted me to accompany him (he was now positively allergic to my presence when in public), we would squirm our way through sweating sidewalk crowds....
  • 토요일마다, 젬 오빠가 내가 동행하는 걸 허락했을 때 (젬 오빠는 사람들 있는 곳에 나와 있으면 확실히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다) 우리는 땀흘리는 군중 속을 꼬물거리며 헤쳐가곤 했다.

이 글에서 사실 괄호 안의 내용이 없어도 Jem오빠와 주인공이 토요일에 군중이 있는 곳으로 간다는 주요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요. 그렇지만 괄호 내용이 있어서 왜 오빠가 동행을 허락할 때만 그곳에 갈 수 있는지 알 수 있고, 또 이 글을 더 유머러스 해졌고요. 한 마디로 글이 좀 더 풍부하게 이해되죠. 

계속적 용법의 관계사절도 이 괄호 안 내용과 마찬기 지에요. 문장 (2)에서 관계사절이 없어도 Lilin이 나를 만나러 온다는 중요한 메시지는 전달 되지만, Lilin이 싱가포르에 살고 있다는 정보를 더하면서 그 친구가 나를 보러 오는 게 얼마나 대단한 노력과 시간을 들이는 일인지 듣는 사람에게 알리게 되니까요. 이제 계속적 용법의 관계사절의 쓰임을 알았으니 그 형태도 자세히 알아볼까요?

계속적 용법의 형태

관계사절이 계속적 용법으로 쓰일 땐 콤마를 찍는 것뿐 아니라 몇 가지 특징이 있어요.

  • (3) My brother, who moved out last year, is coming to visit us next week.
  • (4) I met Sarah, who/whom I hadn’t seen in years, at the conference.
  • (5) The Eiffel Tower, which was completed in 1889, is one the most famous landmarks in the world.
  • (6) Our car, which we bought last year, has been very reliable.
  • (7) She won the lottery, which was a complete surprise to everyone.

먼저 위의 모든 문장(3)-(7) 에서 볼 수 있듯, 계속적 용법에서는 관계대명사로 항상 who, whom, which만 쓰이고 that이 쓰이거나 생략되는 일은 없어요. 왜냐면 who which는 각각 사람과 사물이라는 의미가 명확해서 의미의 밀도가 높아요. 반면에 that은 사람과 사물에 다 쓰일 수 있는데 이건 그 의미가 중립적이기 때문이에요. 그만큼, 이 단어의 의미적 존재감은 낮아요. 그래서 저번 시간에 배운 관계사절처럼 문장에 필수적 요소가 되는 제한적 용법에서는 나머지 문장 부분과 의미적으로 어우러지도록 that이 많이 쓰이지만, 오늘 배운 계속적 용법 관계사절처럼 나머지 문장과 의미적으로 구분 짓기 위해선 존재감이 있는 who which만 쓰이는 거고요. 특히 문장 (4), (6)에서는 whom, which 모두 목적어지만 제한적 용법에서처럼 that이 사용되거나 생략되지 않고, whom, which로 명확하게 관계사절을 표시해 줘요.

, 계속적 용법의 경우 관계사절 앞의 선행사(붉은 글씨)a an 같은 부정관사는 절대 오지 않아요. 부정관사는 말 그대로 대상을 정해주지 않기 때문에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어떤 대상을 이야기하는지 도대체 알 수가 없거든요. 듣는 사람이 알 수 있는 내용이 되려면 이렇게 my brother, our car처럼 대상의 범위를 지정해 주든지, Sarah, the Eiffel tower처럼 이름을 줘야해요. 혹은, 문장(7)처럼 which가 그냥 명사가 아닌 문장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도 많이 있구요. 정리해보면 Sarah, the Eiffle tower처럼 듣는 사람이 알 수 있는 이름 뒤에 관계사절이 오거나 문장 전체를 대신하는 관계대명사가 나오는 경우는 모두 계속적 용법으로만 쓰여요. 그런데 문제는 문장(3) (6) my brother, our car 같은 경우는 그 뒤에 오는 관계사절이 콤마와 함께 올 수도, 콤마 없이도 올 수 있다는 거죠. 그럼 각 경우 도대체 어떤 의미 차이가 생기는지 지금부터 보여드릴게요.

관계사절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의 의미 차이

  • (8) My brother who moved out last year is coming to visit us next week.
  • (9) My brother, who moved out last year, is coming to visit us next week.

만약 누가 문장(8)을 말하면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말하는 사람한테 형제가 두 명 이상 있고 그중 한 명이 작년에 집에서 독립했나 보다’라고 받아들이게 돼요. 왜냐면 영어에서 단순히 'my brother'라고 하지 않고 굳이 '작년에 독립한 내 형제'라고 대상을 한정 지을 때는 '작년에 독립하지 않은 다른 형제도 있다'는 의미가 함축되거든요. 이 부분이 잘 이해되지 않으실 수 있어요. 한국어식 사고는 아니거든요. 그런데 영어로 말할 땐 듣는 이가 내가 말하는 대상을 특정할 수 있게 하는 게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한국어에 없는 정관사 the의 개념도 있는 거예요. 이 블로그의 정관사 THE의 글을 보시거나 유튜브 영어마음 채널의 정관사 영상을 보시면 오늘 수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어쨌든, 문장(8)에선 ’My brother who moved out last year’, 이 전체가 주어 자리에 와 하나의 문장으로 완성돼요. 그래서 말을 할 때도 관계사절 부분을 티가 나게 띄어 말하거나 억양, 말하는 속도나 크기 등을 달리 하지 않고, 부드럽게 문장 안에서 녹아들게 해요.

반면에 누가 문장(9)를 말하면 일단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특정한 대상이 머리에서 떠오르는 거예요. 그래서 이때는 말하는 사람의 형제는 한 명이구나라고 짐작할 수 있고요. 왜냐면, 말하는 사람의 형제가 여러 명일 경우 'my brother'라는 정보만으로는 그 형제 중 누구를 얘기하는지 특정할 수 없으니까요. 그럼 형제가 여럿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냐고요?당연히 형제 여럿 중 누구인지 특정할만한 충분한 정보를 줘야겠죠? 가령 문장(10)의 경우처럼 이름을 댈 수 있겠죠.

  • (10) My brother John, who moved out last year, is coming to visit us next week.

관계사절이 이런 식으로 전체 문장과 콤마로 구분되어 있을 땐, 이 관계사절과 나머지 문장이 별도라는 의미에요. 그렇기 때문에 말할 때도 구분되게 소리 내셔야 해요. 일단 문장 전체 흐름에서 튀도록 띄어 읽기 하셔야 하고, 상황에 따라서는 이 관계사절을 말하는 속도나 크기를 달리하실 수도 있어요.

OUTRO

오늘 내용이 쉽지만은 않았죠? 복습 한 번 해보고 수업 마무리 할게요.

관계사절의 제한적 용법

  • 관계사절이 없으면 어떤 대상을 이야기하는지 상대방이 알 수 없어요.
  • 문장 전체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목적어 자리의 관계 대명사는 비워두거나 의미가 중립적인 that이 많이 쓰이고, 주어자리일 때도 사람 주어인 who는 쓰여도 사물 주어인 which는 잘 쓰이지 않아요.

관계사절 계속적 용법

  •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는 대상에 대해 관계사절을 이용해 설명해요.
  • 관계사절은 문장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가 아닌 문장 안에 친 괄호 같은 역할을 해요. 따라서 관계사절 부분은 문장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도록 띄어 말해요.
  • 관계사절이 나머지 문장 전체와 잘 분리 되도록 관계대명사는 존재감이 있는 who, which가 쓰이고 목적어 자리에도 생략되지 않아요.

*유튜브 채널 '영어마음' (http://www.youtube.com/@english_mind)에서 관련 영상을 보시면 훨씬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관계사절2.pdf
0.17MB

'영어마음 강의 노트 및 활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OVER의 모든 것  (0) 2024.07.04
가정법  (0) 2024.07.02
OUT의 모든 것  (0) 2024.06.22
관계사절 1 (제한적 용법)  (0) 2024.06.16
in, on, at 구분 해서 사용하기  (0) 2024.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