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하단에서 강의 관련 노트 다운로드 하실 수 있어요. 유튜브 채널 "영어마음" (http://www.youtube.com/@english_mind)에서 관련 영상 보실 수 있습니다.

기본 의미
오늘의 단어인 make은 영어 기본 동사로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 중 하나에요. 가장 기본이 되는 의미는 “재료를 모으고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없던 것을 생기게 하다, 다시 말해 사물 등을 만들다”란 뜻이에요. Make은 뭔가를 마법처럼 만들어 낸다는 뉘앙스를 주진 않고 실질적이고 노력이 깃들인 과정을 통해 만들었단 의미가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동사 create과는 대조되죠. 동사create은 과정이나 노력을 강조하기 보다는 없던 것을 존재하게 하다란 의미가 부각되니까요. 그래서 make과는 다르게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창작활동에 더 잘 어울리는 단어에요.
(1) He made a table.
(2) He made a table for his kid. 그는 그의 아이를 위해 테이블을 만들었다.
(3) He made his kid a table.
(1)은 make이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문장형태에요: 만든 사람 +make + 만들어 낸 대상. 하지만 (2)처럼 그 뒤에 ‘for 명사’가 와서 무엇을 위해 만들었는지 얘기하기도 해요. 그리고 문장(2)는 문장(3)의 형태로 쓰이기도 합니다.
(4) I make the bed right after getting up in the morning. 나는 침구정리를 한다,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동사 make이 만드는 이런 기본문장에선 (4)와 같은 표현을 일상에서 많이 하는데요, ‘make the bed’는 침대보나 이불을 갈거나 정리하면서 잠자리를 만드는 걸 말해요. 주의하셔야 하는 건 ‘make the bed와 ‘make a bed’는 완전 다른 뜻이 된다는 거에요. Make a bed는 말 그대로 침대를 만든다, 제작한다는 뜻이 되니까요. 그럼 make이 만드는 다른 쓰임도 보러 가요!
추상적 대상을 make
Make은 물리적인 대상만을 만들지 않고, 추상적인 생각을 모으고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추상적인 대상을 만들어낸다’는 의미로도 확장돼 쓰여요. 추상적 대상을 예를 들면 a will(유언장), a decision (결심), a guess (추측), a comment (의견이나 댓글) 등이 있어요. 관련 문장 볼까요?
(5) My lawyer urged me to make a will. 내 변호사는 권유했다. 유언장을 작성하라고.
(6) These regulations were made to protect children. 이러한 규정은 만들어 졌다,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7) It’s important to gather all the facts before you make a decision. 중요하다, 모든 사실을 규합하는 것은, 결정을 내리기 전에.
(8) She decided to make a guess on the final question of the quiz. 그녀는 결심했다 추측하기로, 퀴즈의 마지막 문제를.
(9) If you have any feedback, please feel free to make a comment. 조언이 있다면,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
재화, 사건, 어떤 상태 등을 생기게 한다
재화
Make은 꼭 무언가를 모으고 결합하며 없던 걸 만든 다는 뜻 외에 “어떤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재화, 사건 어떤 상태 등을 생기게 한다”는 뜻도 있어요. 먼저, 재화, 즉 돈에 관련된 표현 볼까요?
(10) Authors make money through book sales and royalties. 작가들은 돈을 번다, 책판매와 로얄티를 통해서.
(11) She makes a living as a freelance graphic designer. 그녀는 생활비를 번다, 프리랜스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12) He made a fortune by investing early in the tech industry. 그는 큰 돈을 벌었다, 일찍 투자하므로, 기술산업에.
Make money, make a living, make a fortune은 모두 돈을 번다는 뜻이지만 의미의 차이는 있어요. Make money는 돈을 번다는 의미는 있지만 버는 돈의 양에 대한 정보는 없어요. Make a living은 생활을 이어 나가기 충분한 정도의 돈을 버는 걸 말하고, make a fortune은 큰 단위의 돈을 버는 걸 의미해요.
사건
여기서의 사건이란 하나의 상황을 뜻해요.
(13) The kids made a mess in the kitchen while baking cookies. 그 아이들은 엉망을 만들었다 주방에서 과자를 굽는 동안.
(14) My neighbor makes a loud noise during the day. 이웃이 시끄러운 소음을 만든다, 낮시간 동안.
(15) She made a fuss over the small scratch on her car. 그녀는 소란을 피웠다, 그녀 차의 작은 흠집에.
(16) I keep making the same mistakes. 나는 반복해 만든다 같은 실수를.
Make a mess, make a noise, make a fuss, make a mistake, 모두 많이 쓰는 표현이니 잘 알아 두세요.
상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특정 상태가 생겨나게 하다. (클릭1) The stone made a dent in the roof of the car. 그 돌이 움푹 들어간 곳을 만들었다 차 지붕에. (클릭2) She tried to make (click3) a good impression on the interviewer. 그녀는 노력했다 좋은 인상을 남기려고 그 인터뷰어에게. Make a dent, make a good impression. Dent와 impression이 모두 동사형이 있는 단어들이지만 make과 같이 쓰일 때는 명사형으로 쓰였어요.
어떤 대상이 ~상태가 되게 하다.
이번엔 make이 만드는 비슷한 듯 다른 의미의 문장이에요. 문장 안에 주어 뿐 아니라 목적어가 등장하니까요.
(17) The new made him happy. 그 뉴스는 만들었다, 그를 행복하게.
(17)처럼 주어가 만든 목적어의 상태를 위해 형용사를 쓸 수도 있어요.
(18) Miranda made Andrea her assistant. 미란다는 만들었다, 안드레아를 그녀의 비서로.
혹은 (18)처럼 주어가 만든 목적어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형용사 아닌 명사가 올 수도 있어요.
(19) The full story was never made public. 전체 스토리는 공개되지 않았다.
make 목적어 public ~을 공개히디는 be made public 이렇게 수동태로 쓰이는 일이 많아요.
(20) She made herself understood in English. 그녀는 자기 자신이 이해되게 만들었다 영어로.
이렇게 make oneself 다음에 동사의 과거분사 형태가 쓰여서 수동의 의미가 생기기도 해요. 그녀가 행한 일련의 과정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을 이해하게 만든거죠. 이런 식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에는 make oneself heard (주어가 자기 자신을 다른 사람들이 듣게 끔 만들다), make oneself known 등이 있어요. (자기자신을 다른 사람이 알게 끔 만들다).
정리하면 “주어 make 목적어, 상태”일 때, 목적어가 그 상태로 되도록 주어가 만들다 란 뜻이 돼요.
어떤 대상이 ~행동을 하게 하다.
(21) She always makes me laugh. 그녀는 항상 만든다, 나를 웃게.
(22) What makes you say that? 무엇이 만들었니 당신이 그 말을 하도록. = Why did you say that? 왜 너는 그 말을 했니?
(23) Nothing will make me change my mind. 아무것도 만들 수 없다 내가 내 마음을 바꾸게 하는 것을.
이렇게 “주어 make 목적어 동사원형”이 나올 때는 목적어가 그 행동을 한거고 이 상황을 주어가 만든거죠. 그래서 경우에 따라서는 이때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하도록 주어가 강제한다는 의미가 되기도 해요.
목적지에 도달하다.
기억하세요? Make에는 수고로운 과정을 거친다는 뉘앙스가 있다는 거요. 그래서 make이 쓰일 때는 목표나 목적지에 도착한 사실에 방점이 찍히는 게 아니라 그곳에 도달하기 까지의 어려움이나 노력이 필요했다는 사실에 방점이 찍혀요.
(24) We managed to make the deadline. 우리는 마감일을 지킬 수 있었다.
Make the deadline, 어렵게 마감일을 지켰다는 뜻이에요.
(25) I’m sorry I couldn’t make it to your party last night. 미안해요 내가 어젯밤 파티에 가지 못해서.
파티에 가지 못했다는 걸 말할 때 “I couldn’t go to the part.”라고 하면 단순히 가지 못했다는 의미가 되지만 (25)처럼 말하면 하면 갈 의도는 있었고, 노력도 했지만 피치 못할 상황 때문에 가지 못했다는 의미가 돼요. 못 간 걸 아쉬워하거나 사과할 때 유용하게 쓰실 수 있는 표현이에요.
(26) The news really made my day. 그 뉴스는 최고의 날을 만들었다.
Make my day, 이 표현 정말 많이 쓰는 표현이에요. 내 하루가 될 수 있는 가장 좋은 날의 최대치에 도달했다는 뜻이죠. 비슷하게 make the most of yourself, make the most of your life라고 하면 자기자신이나 자신의 삶 최대치에 도달하라, 즉, 자기 자신의 능력이나 삶의 모든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고 발전하라는 의미에요.
~의 정체성을 만들만한, 즉 ~역할이 될만한 자질, 기술, 요건 등을 갖추다.
(27) He makes an excellent teacher. 그는 훌륭한 선생님이 될 자질이 있다.
이 문장은 현재 그가 선생님인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는 주지 않기 때문에 “he is an excellent teacher”과는 다른 의미에요.
(28) This room would make a nice office. 이 방은 멋진 사무실이 될 듯하다.
Make something/someone, 이 표현은 보통 이 문장처럼 would와 같이 쓰여서 어떤 역할에 대한 잠재력이나 가능성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돼요.
오늘은 make의 여러 가지 뜻을 알아봤는데요, make의 목적어로 무엇이 오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다양하게 확장돼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동사 make 폭 넓게 사용해 보세요.
'영어마음 강의 노트 및 활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발음과 듣기를 향상 하려면... (4) | 2025.03.29 |
---|---|
that-절, 어떨 때는 되고 어떨 때는 안되고...왜 그래? (2) | 2025.03.26 |
영어의 명사 종류 (0) | 2024.08.02 |
정관사 THE 졸업하기 (0) | 2024.07.22 |
OVER의 모든 것 (0)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