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마음 강의 노트 및 활용자료

영어의 시제: 현재, 현재 진행, 현재 완료, 현재 완료 진행

by 영어마음 2025. 4. 9.
반응형

Intro

영어로 시간을 얘기하는 방식은 한국인인 우리가 시간을 바라보는 방식과 너무 달라서 이해하기 힘드시죠? 하지만 오늘 글을 포함, 앞으로 포스팅 할 세 개의 시제관련 글을 읽고 나시면 영어가 시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이해하는 데 많이 도움될 거에요. 물론 영어마음 (https://www.youtube.com/@english_mind)의 시제 영상을 보시면 시간 개념을 이미지로 볼 수 있어 이해하기 더 용이할 것 같네요.
오늘 글에선 현재와 관련된 모든 시제 (현재, 현재진행, 현재완료, 현재완료진행)에 대해 이야기하고 순차적으로 과거와 미래 관련된 시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현재관련 시제의 개념을 잘 소화하시면 과거와 미래 시제 관련 글이 좀 더 쉽게 이해될 테니  오늘 이 글, 차근히 잘 읽어 주세요.  
 

현재시제와 현재진행

우린 보통 시간은 과거로부터 미래로 흘러간다고 생각하죠. 우리는 모두 과거를 지나 여러분이 이 글을 읽고 있는 지금 이 순간인 현재에 있습니다. 현재시제는 바로 이 현 시점에 일어나는 상황을 이야기할 때 사용해요.
 
(1) I admit that was a mistake. 나는 인정해 그게 실수였다는 걸.
(2) I order you to leave. 나는 명령해 네가 떠나는 걸.
 
현재시제는 문장 (1), (2)처럼 내가 말을 하는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 현재시제를 쓰는 표현은 문장 (3)처럼 스포츠 중계나 (4)처럼 요리 시연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어요.
 
(3) He hits it. It’s a homerun. 그가 공을 치네요. 홈런이에요.
(4) I beat two eggs like this. 계란 두 개를 풀어요 이렇게.
 
그런데 아래 문장 (5)처럼 어떤 사건이나 상황은 현재에도 유효하지만 시간을 초월해 과거에도, 미래에도 무한히 반복해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 또한 현재형을 써서 표현해요.  또한 해가 뜨는 것만큼 불변의 진리는 아니지만 (6)처럼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상태를 이야기할 때도 우리는 현재시제를 사용해요.
 
(5) The sun rises in the east. 해는 동쪽에서 뜬다.
(6) I love spaghetti. 나는 스파게티를 사랑한다.

하지만 일상적으로 우리가 하는  말은 행동보다 빠르기 마련이죠. 보통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시작돼서 마무리 지어지기 까지의 시간은 그 상황을 표현하는 말보다 길어질 때가 대부분이니까요. 그래서 이럴 땐 현재 진행형을 씁니다.
 
(7) I‘m fixing dinner now. 나는 지금 저녁을 준비 중이야.
*fix dinner= 캐주얼한 표현으로 prepare dinner, make dinner와 같은 뜻이에요.
 
문장 (7)이 나타내는 상황은 이래요. 내가 저녁을 준비하는 행동은 말을 시작한 시점 전에 시작됐고, 저녁 준비는 말을 끝낸 지금 이 순간에도 아직 끝나지 않고 진행 중이에요. 이렇게 내가 말을 끝낸 이 순간에도 끝나지 않고 진행되는 행동이나 상황에 대해 우리는 진행형으로 표현합니다. 그런데 저녁 준비 같은 행위나 상황은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마무리되는 반면, 한 권의 책 읽기 같이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행위나 상황도 있잖아요? 한 권의 책 읽기란 경우에 따라 몇 주나 몇 달이 걸리기도 하는 일이니까요. 물론  그 기간 동안 우리는 쉬지 않고 책만 읽고 있지는 않죠. 그래서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이 순간 저는 책을 읽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아래 (8)처럼 말할 수 있어요. 마무리되지 않은 채 아직 읽고 있는 책이 있으니까요.
 
(8) I am reading a book. 나는 책을 읽고 있어.
 

현재완료와 현재완료진행

현재완료

현재완료시제의 가장 큰 특징은 현재시제처럼 나의 관점이 현재에 머물러 있는 거에요.  즉, 나의 관심은 여전히 현재의 상태인 거죠. 그렇지만 우리의 현재는 과거와의 연속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과거를 돌아보게 될 때가 있어요. 이렇게 현재에 발붙인 채로 과거를 바라보는 시각이 바로 현재완료시제에요. 구체적인 예시 문장을 들으시면 훨씬 이해가 쉬우실 거에요.
 
(9) I have written the letter.
 
현재완료로 쓰인 문장 (9)는 현재의 관점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이 문장의 의미는 ‘내가 과거에 편지를 썼다 + 그 편지가 현재에도 쓰여진 상태로 존재한다’가 됩니다. 과거완료 시제에 쓰이는 조동사 have는 우리가 소유의 뜻이라고 알고 있는 동사 have에서 유래됐기 때문에 (9)는 원래 (10)와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죠.
 
(10) I have the letter written. (= I have the letter in its written state) 나는 그 편지를 쓰여진 상태로 지니고 있다.
 
게다가 동사 have는 존재의 의미와 깊이 연관돼 있기 때문에 (영어마음 채널의 동사 have 영상 참고해 주세요) 동사 have가 조동사 have로 변화하면서도 그 존재의 의미는 유지됐어요. 현재완료가 나타내는 현재와의 관련성을 좀 더 이야기해 볼까요?
 
(11) Mom has cuddled the baby. 엄마가 아기를 안아줬다.
 
지금 현재 편안히 자고 있는 아이를 보며, (11)처럼 굳이 현재완료 시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대방에게 단순히  과거 한 시점에 엄마가 아이를 안아줬다는 정보를 주는 것 외에 아이가 지금 현재 편히 자고 있는 이유를 간접적으로 언급하기 위해서에요. 현재완료는 현재와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하니까요.
 
(12) The baby has burped. 아기가 트림을 했다.
 
아기들은 젖병 수유를 하고 나면 꼭 트림을 해야지 잘 수 있어요. 안 그러면 토하니까요. 그래서 아이를 재우기 전, (12)처럼 아기가 트림을 했다는 사실을 현재완료 시제로 말을 할 땐,  단순히 과거 한 시점에 아기가 트림을 했다는 것을 얘기하는 게 아니라 트림을 했으니 지금 현재 아이를 눕혀 재워도 괜찮다는 뉘앙스를 전해주게 됩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현재완료 문장은 언제나 현재와의 관련성을 얘기하는 거니까요. 이렇게 현재와의 관련성을 기반하는 현재완료 시제는 과거의 사건을 이야기함에도 불구하고 그 사건이 일어난 과거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 예를 들어 yesterday, a year ago 등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현재완료진행

그럼 이제 현재완료진행을 이야기해볼까요? 그러기 위해서 잠시 현재완료로 돌아가 볼게요. 명확한 비교를 위해서요.
 
(9) I have written the letter.
(10) I have been writing the letter.
 
앞에서 이야기했듯, (9)의 의미는 ‘이미 내가 편지 작성을 마쳤고, 그 편지는 쓰여진 상태로 현재까지 존재한다’ 입니다. 반면, (10)처럼 현재완료 진행으로 바뀐 문장은 편지를 쓰는 행위 자체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왔다’가 됩니다. 다시 말해, (9)와 (10)의 차이는 행위의 지속에 있습니다. 현재완료와 현재완료진행의 차이를 한 번 더 볼까요?
 
(11) Who has eaten my dinner?
(12) Who has been eating my dinner?
 
(11)처럼 현재완료시제가 사용된다면 이 문장의 의미는 ‘과거 한 시점에 이미 누군가 내 저녁을 다 먹고, 다 먹은 그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져 온다’는 거죠. 즉, 이땐 지금 현재 내 접시에 음식이 남지 않았다는 의미를 내포해요. 먹는 행위 자체가 이미 완료된 상황이니까요. 반면에 (12)처럼 현재완료진행을 사용하면 누군가 방금 전까지도 내 저녁을 먹고 있었던 거죠. 즉, 누군가 내 저녁을 먹는 행위 자체가 계속 이어지고 있었고, 아직 끝난 게 아니라는 뉘앙스도 주기 때문에 이때는 내 접시에 아직 음식이 남아 있을 수 있어요. 두 문장의 차이 이제 이해되나요?
 
그럼 과거와 미래 관련 시제들은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오늘의 글이 여러분의 영어에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댓글, 구독으로 응원해 주세요. :)

 

참고문헌

Radden, G., & Dirven, R. (2007). Cognitive english grammr
 

반응형